반응형
화공안전기술사에서 산안법 파트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문제는 단연 1. 공정안전보고서 및 2. 유해위험 방지계획서 일 것이다.
이거와 비슷하게 화학물질 관리법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던 문제는 1. 장외 위험성평가와 2. 위해 관리계획서 일 것이다.
이 2 제도가 2021.4.1일 기준으로 하나의 제도로 통합될 예정인데 그것이 바로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이다.(이름도 꼭 기억하세요!)
이 부분은 125회 1차 필기 및 123회 면접 시에도 물어볼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꼭 숙지를 해야겠다.
화학물질 안전원 사이트에 접속해보면 크게 3개의 PDF 리플릿이 존재하는데 꼭 숙지를 해야 한다.
이문서는 화학물질 안전원 사이트에 접속 검색하면 쉽게 받을 수 있는 자료라서 첨부하지는 않았으며, 혹시 못 찾으시는 분 or 다운이 안 되는 분들은 덧글 주시면 메일 공유 혹은 사이트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표에서 우측으로 변경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1군/2군은 사업장 내 취급량을 규정 수량으로 비교하여 구분됨.
반응형
'화공안전기술사 > 3. 화공안전기술사 관련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기운폭발 해석모델 (TNT당량/TNO ME/BST) :화공안전기술사 117회 기출(2019) (0) | 2021.02.24 |
---|---|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암기법포함) (0) | 2021.02.18 |
가스누출감지기 (화공안전기술사 125회 예상문제) (0) | 2021.02.16 |
산안법 관련문제는 어떻게 대처해야하는가? in 화공안전기술사 (0) | 2021.02.14 |
Flame Arrester (화염방지기) - 125회 예상문제 (0) | 2021.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