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에 개정된 KOSHA이며,
기존 기출문제를 분석 결과 125회 이후에 상당히 높은 확률로 출제가 예상된다.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사항은 설치장소 및 배치기준이라고 생각된다.
(섹션이 나누어져 있는데, 아래와 같이 매치해서 외우는 게 외우기가 편할 것으로 생각된다)
관련 Code : P-166-2020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 중 Section 4 참조
1. 정의
“인화성 가스”이라 함은 1) 인화점이이하인 물질의 증기와 가스2) 인화점이를 초과하고 93 ℃ 이하인 인화성 액체를 인화점 이상에서 운전하는 경우 인화성 가스라고 한다.
2.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장소 및 배치기준 (배치 기준은 Red highlighted)
2.1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장소
(1) 누출 우려가 높은 설비의 인접 장소 (누출 인접한 곳 1개, 단 2층 이상이면 (2)와 같은 기준)
(가) 펌프, 압축기 등 이송에 따른 가압 발생 장소
(나) 기화기, 충전(충진)설비 등 누출될 우려가 있는 장소
(다) 현저한 발열반응 또는 부차적인2차 반응 가능성이 높은 다음 반응 설비
(바닥면 둘레 10m마다 1개 이상, 아래 목록은 외워둬서 반응 폭주 예시에도 쓸 수 있으니 암기해두자)
① 암모니아 2차 개질로
② 아세틸렌 제조시설의 아세틸렌 수첩 탑
③ 산화에틸렌 제조시설의 에틸렌, 산소 또는 공기와 반응기
④ 사이클로헥산 제조시설의 벤젠 수첩 반응기
⑤ 석유정제의 중유 직접 수첩 탈황 반응기 및 수소 화분 해 반응기
⑥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합기
⑦ 메탄올 합성반응탑
(라) (다) 목다)목 이외 설비로 고온, 고압에 의한 이상 운전으로 과압 우려가 있는 장소
(마) 저장시설 등 대량 누출 위험이 있는 장소
(2) 공기 비중에 따라 누출물질의 체류 우려가 높은 장소
직접적으로 파열 또는 분출되는 대량 누출이 아닌, 연결부 결함으로 소량 누설- 체류
(가) 건축물 밖에 설치되는 감지기는 풍향, 풍속 및 가스 비중 등을 고려
(바닥면 둘레 20m마다 1개 이상, 방유제 내부는 저장탱크마다 1개 이상)
(나) 건축물 내는 비중 공기보다 무거운 경우: 하부, 가벼운경우 : 상부 (바닥면 둘레 10m마다 1개 이상)
(3) 폭발위험장소 내에 설치된 점화원이 존재하는 변전실, 배전반실, 제어실 등 건축물 내부 (1개 이상)
(4) 폭발위험장소 내에 설치된 점화원이 존재하는 가열로, 보일러 등 설비 (바닥면 둘레 20m마다 1개 이상)
아래 그림도 간단한 내용이니 시험에 그릴 수 있도록 연습해두자
'화공안전기술사 > 3. 화공안전기술사 관련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암기법포함) (0) | 2021.02.18 |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0) | 2021.02.17 |
산안법 관련문제는 어떻게 대처해야하는가? in 화공안전기술사 (0) | 2021.02.14 |
Flame Arrester (화염방지기) - 125회 예상문제 (0) | 2021.02.11 |
체크밸브(Check Valve) 설치에관한 기술지침 (D-62-2018) 요약 (0) | 2020.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