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회 화공안전기술사 기출문제 풀이를 연재 중입니다. 1교시 및 2교시는 하기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해당 내용 중 의문 있으시는 내용 있으시면 답글 부탁드립니다. 유튜브에서 아는 한에서 자세히 해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교시 및 2교시도 포함)
2021.06.04 - [화공안전기술사/2. 기출문제 분석] - 123회 화공안전기술사 1교시 - 기출문제 풀이
2021.06.07 - [화공안전기술사/2. 기출문제 분석] - 123회 화공안전기술사 2교시 기출문제풀이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의 업무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이 부분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8조 대한 내용 작성하였고, 그림으로 안전관리자 라인-스텝형 등을 도해화하였음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노사협으체 심의 의결한 업무, 안전보건관리 규정,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
- 위험성 평가에 관한 보좌 및 지도 조언
- 안전인증대상 기계, 자율안전 확인 대상 기계 구입 시 적격품 선정, 보좌 및 지도조언
-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 조언
- 사업장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 건의
- 산업재해 발생 시 원인 조사 및 분석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보좌 및 지도조언
-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 유지 관리 분석 위한 보좌 및 지도 조언
- 법 또는 법에 따른 명령으로 안전에 관한 시행 이행 보좌 및 지도조언
- 업무수행 내용의 기록 유지
2. 안전대책의 기본이 되는 FAIL SAFE SYSTEM과 POOL PROOF SYSTEM의 차이점과 특성을 설명하시오
ulsansafety 티스토리 참조하여 추가 정리하였습니다 - https://ulsansafety.tistory.com/1870
ulsansafety님의 블로그는 안전 및 공정안전을 하는 사람이라면 꼭 구독해두어야 할 블로그로 생각됩니다. 비단 화공안전기술사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벨류업을 위하여 구독하시길 강력추천드립니다.
1. Fail Safe
1) 기계적 결함 시 다른 시스템 또는 동일한 다중 시스템에 의하여 사고 발생 방지 방법. 즉 기계나 그 부품에 고장이나 기능 불량이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2중, 3중의 통제를 가하는 안전대책을 말한다.
2) 종류
Fail Passive | 기계고장 즉시 장비가 멈춤, 부품이 고장나면 통상기계는 정지하는 방향으로 이동 |
Fail Active | 기계고장시 경보가 울리며 잠시 작동가능, 부품이 고장이 나면 기계는 경보를 울리는 가운데 짧은시간동안의 운전이 가능 |
Fail Operational | 기계고장시 다음점검까지 작동가능, 부품이 고장이 있어도 기계는 추후 보수가 될때까지 안전한 기능을 유지 |
3) 예시
- DCS/ESD control valve: flow, pressure, level 등을 제어하여 정상 운전 범위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control valve를 조절하여 fail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
- Redundancy design: 시스템을 2중, 3중으로 병렬 설치
- emergency shutoff valve: 보일러 BMS 시스템 등
2. Fool Proof : 인간의 과오를 포용하는 설계/ 패닉 상태에서도 쉬운 그림, 문장을 통해 전달
- 설계 방법: 격리, 기계화, LOCK 등
- 문제점: 설비의 수리작업 중 Fool Proof 해제할 경우 위험성이 상존함
- 예시:
종류 | 설명 |
가드 | 덮개나 울 회전기기의 회전부에 대하여 보호커버를 설치한다. 격리 방법에 해당되며 이를 해제했을 경우 위험성을 안고 있다 |
탈수기, 세탁기 | 탈수기 뚜껑을 열면 탈수기가 정지된다 |
조작밸브의 시건장치 (CSO/CSC) | 조작밸브에 시건장치를 걸어두어서, 평상시에는 임의로 작동을 할수 없도록 조치함 (예: 안전밸브 토출측에 차단 valve) |
Automatic Guard | 동력전달장치의 덮개를 벗기면 운전이 정지된다. |
3. Fail Safe와 Fool Proof의 차이점
기본적으로 Fail Safe는 "기계"의 실패 시 대응하는 것이며, Fool Proof의 경우 "인간"이 실수하지 않도록 도움을 주는 혹은 실수하더라도 설계가 포용을 할 수 있는 본질안전설계를 의미한다.
인간과 기계가 상호작용하는 Man-Machine System의 경우 각각의 설계가 적절히 구성되어야 관련 사고를 감소시키며 인간-기계의 신뢰도 유지 및 개선이 가능하다.
Man-Machine System은 크게 3가지 체계가 있다
- 수동 체계; 인간의 신체적 힘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체계
- 기계화 체계: 기계는 동력원을 제공하고 인간이 운전 조작하여 작업하는 체계
- 자동화체계: 기계가 감지, 정보 저장 등 모든 작업을 수행하며, 인간은 보수관리, 제어 방식 입력,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체계를 말한다
기계의 의존도가 많은 체계일수록 fail safe 개념이 더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사람이 involve가 많은 시스템의 경우 fool proof 개념설계가 더 중요하다. 다만 전체적인 Man-Machine System에서의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적절한 설계가 혼용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3. 분진폭발 위험 장소를 구분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단계: 물질특성 확인
- IIIA: 가연성 부유물
- IIIB: 비전도성 분진 (Non-conductive dust)
- IIIC: 도전성 분진 (Conductive dust) 10^3 Ω 이하
2단계: 분진 격납 용기 및 분진 누출원 확인
- 분진 격납용기의 양압 시: 분진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음압시 낮아짐
3단계: 누출원으로부터 누출될 가능성 및 분진폭발 혼합물의 발생가능성 여부 결정
- 누출 등급(누출 빈도로 구분) - 연속/1차/2차
4단계: 폭발 위험 장소 구분 (20종, 21종, 22종 - 관련설명 필요)
5단계: 폭발위험 장소 구분
IEC 60079-10-2, Zone 22는 3m, Zone 21는 1 m
4. 화학공정설비에 적용하는 윈터 라이제이션 (WInterization)의 목적, 방법, 적용시 고려사항, 윈터라이제이션 (Winterization) 적용이 필요 없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목적
대기환경이 저온일 경우 기기류의 운전효율 유지-> 대기환경이 낮은 경우에 발생 현상은 아래와 같다.
- 유체 동결 (liquid freezing) : 물이나 20% caustic, spent caustic, water based injection chemical 동결 우려
- 유체 점도(liquid viscosity) : sulphric acid, pyrolysis fuel oil 등이 저온인 경우 점도 상승으로 배관 이송 힘들어짐
- Gas condensation: fuel gas 등이 condesation 예방조치
2. 방법
크게 steam tracing 및 electrical tracing이 있고 장단점은 아래와 같다.
steam tracing | electrical tracing | |
장점 | 가열온도 높다 | 온도조절 용이 배관부식 염려가 없다 설비비 저렴, 부대시설 간편 |
단점 | 온도조절 어려움 보온두께 크다 스팀누출시 에너지 문제 높은 온도시 특정물체의 부식야기 |
전기료 과다 |
3. 적용 시 고려사항
- cooling water의 isolation valve 등은 lock open으로 하여 continuous flow가 흐르도록 한다
- spare pump의 discharge valve에는 small bypass line을 두어 small back flow가 흐르도록 한다
- pocket을 minimise 한다
- Line sizing을 적절히 해야 한다.
- steam heat tracing
- hose station의 water line과 steam을 밀착 시공-> water 초기 사용 시 과열 우려 주의
- oil 수송 관등에 증기관을 같이 지나게 하여 보온하는 방법
- steam tracing의 길이 제한: tube의 길이가 너무 길면 동결 가능성이 커짐
4. 적용이 필요 없는 경우
- 실내에 설치된 배관으로 항시 적정온도 이상으로 유지가 가능한 경우
- 융점이 외기온도 이상 유지되는 경우
5. 작업안전분석 (Job Safety Analysis) 기법 실행절차를 3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6. 산업안전보건 법령상 안전검사대상 기계 등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어떤 것인지 쓰시오
https://kwkarchive-w.tistory.com/51
산업안전보건법 제93조 및 산업안전보건 법령 제78조 확인
- 프레스
- 전단기
- 크레인 (정격하중 2톤 미만인 것은 제외)
- 리프트
- 압력용기
- 곤돌라
- 국소배기장치 (이동식은 제외한다)
- 원심기 (산업용만 해당한다)
- 롤러기 (밀폐형 구조는 제외한다)
- 사출성형기 (형 체결력 294 KN미만은 제외)
- 고소작업대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자동차에 탑재한 고소작업대로 한정)
- 컨베이어
- 산업용 로봇
'화공안전기술사 > 2. 기출문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5회 화공안전기술사 기출문제 공유(편집가능) (4) | 2021.08.01 |
---|---|
123회 화공안전기술사 기출문제풀이 - 4교시 (0) | 2021.06.15 |
123회 화공안전기술사 2교시 기출문제풀이 (0) | 2021.06.07 |
123회 화공안전기술사 1교시 - 기출문제 풀이 (3) | 2021.06.04 |
기술사 복기하는법 (2) | 202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