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6LQZn/btq14YGYtcd/LMxTXx8DN1HmEB5hI1aAR1/img.png)
아무래도 필자의 경우 해외 프로젝트만 담당하다 보니, 화공안전기술사 필기를 준비할 때에도 가장 어려웠던 부분 중 하나는 PSM이었습니다. 그 중요도 때문인지 필기에서도 거의 매년 출제가 되었고, 날이 갈수록 그 난이도도 높아지는 느낌이었습니다 (경험이 없다 보니)
국내 공정안전관리제도 12대 요소와 리스크 기반 공정안전 20개 요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선진국에서 도입하고 있는 리스크 기반 공정안전에는 (risk based process safety- RBPS)에는 안전문화 (safety culture) 및 측정지표(leading/lagging indicator)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 외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DjRa/btq16hsNtT0/1RPFeTyvzBVOLxuck2l7j0/img.png)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도 RBPS (Risk Based Process Safety)를 참고하여, P-19-2019 공정 안전문화향상에 관한 기술지침을 개정하였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PSM에서 없는 요소인 commit to process safety(공정안전을 위한 노력, safety culture포함)을 PSM요소에 녹였다는 점입니다.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HWbED/btq16QaszTb/n6a8nnHzhXTN4QGOS3KPH0/img.png)
해당 별표를 보다 보면 총 14개 항목이 있는 걸로 보이는데, 이는 위험성평가가 중복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며 (단순 실수인 듯), 상기 안전경영과 근로자 참여에 대한 내용이 PSM요소에 추가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원문은 아래에서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면접을 준비할 때도 PSM관련 문항들이 가장 어려운 것 같습니다.
PSM을 조금 더 이해하고자 저는 관련 노동부 고시를 보고 있습니다.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 평가 등에 관한 규정 (노동부 고시)"
해당 사항은 아래에서 다운로드 가능하십니다.
Stop 이라는 sign을 보고 멈추는것도 그 안전문화에서 기인하지 않을까요?
![](https://blog.kakaocdn.net/dn/coMQKu/btq18pcpwE8/SRd9kK92fy6jVLbzajn2Sk/img.jpg)
참고사이트
1. blog.naver.com/bgkim0725/222036650447
2. blog.naver.com/kyo2355/222064380077
3. 산업안전공단
4. 법령정보센터
'화공안전기술사 > 2. 기출문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3회 화공안전기술사 1교시 - 기출문제 풀이 (3) | 2021.06.04 |
---|---|
기술사 복기하는법 (2) | 2021.05.23 |
123회 화공안전기술사 문항 별 분석 (필기합격) (0) | 2021.03.06 |
화공안전기술사 123회 1교시 4번문제 재해설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 개선계획을 수립해야하는 경우) (3) | 2021.02.28 |
Winterization(윈터라이제이션) 123회 3교시 4번문제 (2)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