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은 아니니 참고만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1. 화학설비의 부식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5가지를 쓰시오.
외적요인, 2020년 1번 문제랑 비슷한 듯
- 용존산소량
- 용해 성분(Cl-등)
- pH : 9~10.5가 최소
- 상대습도 : 60% 이상
- 유속 :빠를수록 부식률 상승
- 온도: 높을수록 상승하는 경향
2.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로서 해당 설비의 최고 사용압력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곳에 파열판을 설치하여야 하는 3가지 경우를 쓰시오.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262조 참조할 것
- 반응 폭주 등 급격한 압력 상승 우려가 있는 경우
- 급성독성물질의 누출로 인하여 주위의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
- 운전 중 안전밸브에 이상 물질이 누적되어 안전밸브가 작동하지 아니할 우려가 있는 경우
3. 증류ㆍ정류ㆍ증발ㆍ추출 등 분리 장치인 특수화학설비가 설치된 공장에서 아래와 같은 위험물을 취급 시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용 위험물질의 기준량 초과 여부를 구하고, 계측장치 설치 유무를 판정하시오.
○ 취급량: 니트로소 화합물 100 Kg, 마그네슘 분말 50 Kg, 과염소산 100 Kg, 아세트알데히드 50 L, 아세틸렌가스 5 m3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9에 의거하여 계산이 필요하다 (기준량을 다 외워야 되나.. 쉽지 않은 문제인 듯)
기준량 |
취급량 (단위 좌동일) |
|
니트로소 화합물 |
200kg |
100 |
마그네슘 분말 |
500kg |
50 |
과염소산 |
300kg |
100 |
아세트알데히드 |
200 L |
50 |
아세틸렌가스 |
50 m3 |
5 |
R>1 보다 클 경우 기준량이 초과되어, 특수화학설비 이므로 R을 상기식을 활용하여 계산한다.
100/200+50/500+100/300+50/200+5/50=1.28
따라서 1보다 크기 때문에 기준량을 초과하였고, 계측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4. 누출된 화학물질의 대기확산 평가에 이용되는 혼합층(Mixing Height)의 의미를 쓰시오.
혼합층이란 대기환경(예: 바람 속도, 대기안정도)으로 인하여 물질이 대기에 혼합이 될 수 있는 높이를 의미하여, 대기확산 평가 시에 plume이나 cloud가 top of the mixing layer에서 머무는 경향성을 보인다.
만약 mixing layer height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 plume이나 cloud가 지속적으로 rise 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5. 위험성평가 기법 중 사건수 분석법(Event Tree Analysis)과 결함수 분석법(FaultTree Analysis)의 차이점을 쓰시오.
FTA
- 사고 결과로부터 출발하여 원인을 찾아가는 연역적 방식의 위험성평가
- 사고 결과와 원인의 인과관계가 있는 논리 기호인 불대수를 사용하여 결함 수목을 만들고 고장 확률을 구함
- 정상 사상 결정-> 재해발생 확률과 목표치 결정-> 결함 원인 및 영향조사-> 결함 수목 작성-> 결함 수목 구조해석-> 수식화->해석 결과의 평가
ETA
- 초기 사건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사고 결과를 평가하는 귀납적, 정량적 방법
- 초기 사건 산정-> 완화시킬 수 있는 안전요소 확인-> 사건수 구성-> 결과 확인-> 상세분석
6.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설치하는 안전밸브의 축적 압력(Accumulated Pressure)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1) 축적 압력의 정의
안전밸브 등이 작동될 때 안전밸브에 의하여 축적되는 압력으로 설비 내에서 순간적으로 허용 가능한 최대압력
2) 축적 압력의 허용기준(설치 목적이 화재로부터의 보호가 아닌 경우)
- 하나의 안전밸브 설치 시: 설정압력 또는 최고 허용 압력의 110% 이하
- 여러 개의 안전밸브 설치 시: 설정압력 또는 최고 허용 압력의 116% 이하
3) 축적 압력의 허용기준(설치 목적이 화재로부터의 보호인 경우)
- 수량에 관계없이 설정압력 또는 최고 허용 압력의 121% 이하
7.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ㆍ화재ㆍ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밀폐공간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사업주는 근로자가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ㆍ화재ㆍ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밀폐공간에서 근로자가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확인하여야 하는 사항 6가지를 쓰시오.
이 부분은 명확하지는 않은데 아래와 같이 작성해보았음 (KOSHA GUIDE H-80-2018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 참조)
- 출입 사전조사: 밀폐공간 여부 및 밀폐공간에 출입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가능성 확인 및 유해가스 존재 가능성 여부 확인
- 장비 준비 및 점검: 산소농도 측정, 호흡용 보호구, 대피용 기구 등
- 출입 조건 설정: 출입자, 출입시간 등 결정, 관계자 외 출입금지 표지판 설치
- 가스농도 측정
- 환기실시: 작업장소에 따라 적합한 환기방법, 환기량(초기 밀폐공간 체적 5배, 작업 중 시간당 교환 횟수 20회 이상 적용)
- 밀폐공간 작업허가서 작성 및 허가자 결재
2) 다음은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는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ㆍ화재ㆍ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밀폐공간의 종류 중 하나이다. (가) ∼ (마)에 들어갈 내용을 쓰시오.
산소농도가 ( 가 ) 또는 ( 나 ), 탄산가스농도가 ( 다 ), 일산화탄소 농도가( 라 ) 또는 황화수소 농도가 ( 마 )인 장소의 내부
KOSHA GUIDE H-80-2018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가) 18% 미만
- (나) 23.5% 이상
- (다) 1.5% 미만
- (라) 30 ppm 미만
- (마) 10 ppm 미만
3)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ㆍ화재ㆍ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밀폐된 장소에서 실시하는 용접작업 또는 습한 장소에서 하는 전기용접 작업 시 특별 안전ㆍ보건교육내용 4가지를 쓰시오. (단, 교육내용 중 그밖에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산안법 시행규칙 별표 8-2의 내용으로 보입니다.
- 산소농도 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
- 사고 시 응급처치 및 비상시 구출에 관한 사항
- 보호구 착용 및 사용방법에 관한 사항
- 밀폐공간 작업의 안전작업 방법에 관한 사항
8. 석유화학 플랜트 내 가스폭발 위험장소 설정 등 방폭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E-180-2020 가스폭발 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1) 누출 등급 3가지
누출등급 종류. |
설명. |
연속 누출 등급 |
연속, 빈번, 또는 장기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누출 |
1차 누출 등급 |
정상 작동 중에 주기적으로 또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누출 |
2차 누출 등급 |
정상작동 중에는 누출되지 않고, 만약 누출된다 하더라도 아주 드물거나 단시간 동안의 누출을 말한다.. |
2) 희석 등급 3가지
누출 등급 종류. |
설명. |
고희석 |
누출원 근처에서의 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소시키고 누출이 중단된 후 사실상 지속되지 않는다 |
중 희석 |
누출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누출 농도를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누출이 중단된 후에는 더 이상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지속되지 않는다. |
저 희석 |
누출이 진행되는 동안에 상당한 농도로 지속되고 누출이 정지된 후에도 인화성 분위기가 상당기간 동안 지속된다 |
참고 1. 환기 이용도
환기 이용도 등급 |
설명 |
우수(good) |
환기가 실제로 지속되는 상태 |
양호(fair) |
중환기의 정상작동이 지속됨이 예측되는 상태. 빈번하지 않은 단기간 중단은 허용된다 |
미흡(poor) |
환기가 양호 또는 우수기준을 충족하지 않지만, 장기간 중단이 예상되지 않는 상태 |
참고 2. 최종 위험장소 결정
3) 방폭 업무 수행 전문가 종류 7가지와 그 역할
KOSHA E-172, E-101, E-171에 아래와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거는 시험문제에서 출제되면 사실 맞추기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 방폭 시공 감독자
- 방폭 시공자
- 방폭 설계자
- 방폭 정비 감독자
- 방폭 정비사
- 방폭 기술자
- 방폭 시스템 책임자/관리자
9.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위험물질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쓰시오.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25조 및 별표 1을 참고하여 작성할 것
1) 위험물질의 종류 7가지
- 폭발성 물질, 유기과산화물
- 물 반응성 물질, 인화성 고체
- 산화성 액체, 산화성 고체
- 인화성 액체
- 인화성 가스
- 부식성 물질
- 독성물질
참조)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25조
폭발성 물질, 유기과산화물 |
화기, 점화원 접근 X, 가열/마찰/충격 X |
물 반응성 물질, 인화성 고체 |
화기, 점화원 접근 X, 발화를 촉진시키는 물질 및 물 접촉 X, 가열/마찰/충격 X |
산화성 액체, 산화성 고체 |
분해 촉진물질 접촉, 가열/마찰/충격 X |
인화성 액체 |
화기, 점화원 접근 X, 주입/가열/증발 X |
인화성 가스 |
화기, 점화원 접근 X, 압축/가열/주입 X |
부식성 물질/급성독성물질 |
인체에 접촉하는 행위 X |
위험물을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설비가 있는 장소에 인화성 가스 또는 산화성 액체 및 산화성 고체를 방지하는 행위 금지 |
2) 인화성 액체의 분류 3가지
- 인화점 섭씨 23도 미만이고, 초기 끓는점이 섭씨 35도 이하인 물질 (예: 에틸에테르, 가솔린, 아세트알데히드, 산화프로필렌)
- 인화점이 섭씨 23도 미만이고, 초기 끓는점이 섭씨 35도를 초과하는 물질 (예: 노르말 헬산,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알코올, 이황화탄소)
- 인화점이 섭씨 23도 이상, 섭씨 60도 이하인 물질 (예;크실렌, 아세트산 아밀, 등유, 경유)
3) 급성 독성 물질의 분류 3가지
- LD50(경구, 쥐)이 킬로그램당 300 mg(쳬중) 이하인 화학물질
- LD50(경피 토끼 또는 쥐)이 킬로그램당 1000 mg(쳬중) 이하인 화학물질
- 가스 LC50 (쥐 4시간 흡입) 이 2500 ppm 이하인 화학물질, 증기 LC50 (쥐, 4시간 흡입)이 10 mg/l이하인 물질, 분진 또는 미스트 1mg/l이하인 화학물질
참고) 부식성 물질
부식성 산류
- 농도가 20% 이상인 염산, 황상, 질산, 그밖에 이와 같은 정도 이상의 부식성을 가지는 물질
- 농도가 60% 이상인 인산, 아세트산, 불산, 그밖에 이와 같은 정도 이상의 부식성을 가지는 물질
부식 성염 기류
- 농도가 40% 이상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이와 같은 정도 이상의 부식성을 가지는 물질
기출은 아래에서 다운받으실수 있습니다.
2021.03.16 - [산업안전지도사/4. 2차 시험(화공안전)] - 산업안전지도사 화공안전 2차 기출정리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2021년)은 아래에서 다운받으실수 있습니다.
2021.03.11 - [산업안전지도사/1. 산업안전지도사 공부법 및 합격후기] - 만화로 보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2021년도)
'산업안전지도사 > 3. 2차 시험(화공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산업안전지도사 2차 기출문제 풀이 - 화공안전 (0) | 2021.04.29 |
---|---|
2018 산업안전지도사 2차 기출문제 풀이 - 화공안전 (0) | 2021.04.28 |
2020 산업안전지도사 10회 기출문제 풀이 (4) | 2021.04.25 |
2020년 기출문제 4번 특수화학설비 5가지 (2) | 2021.04.24 |
산업안전지도사 2차 화공안전 기출문제 분석중 (0) | 2021.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