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코드도 굉장히 중요한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원본 및 부록을 꼭 보시길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폭발 화재의 종류 및 관련 정의도 자세히 나와있고, 부록에도 각각의 사고 피해 예측모델들이 잘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부록에 보면 실제로 화공안전기술사에 나와도 전혀 문제가 없을 만한 “계산문제”도 많으니 꼭 풀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하기에서는 전체적인 흐름 및 본문만 요약하였으니 원본 및 부록을 꼭 다운로드받아서 풀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해당 코드에서는 크게 “정의” 및 “사고피해 예측절차”에 대하여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관련 용어 정의
1. 누출모델(Source term model): 피해예측 특히 확산결과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누출에 관한 일련의 자료, 즉 누출량(또는 누출속도), 누출되는 기간 및 누출되는 위험물질의 상태 등을 예측하는 방법을 말한다.
2. 퍼프(Puff): 순간누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증기운을 말한다.
3. 플름(Plume): 연속누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증기운을 말한다.
4. 비등액체 팽창증기폭발(BLEVE :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 가연성인 위험물질이 용기 또는 배관 내에 비점 이상의 온도 및 압력하에서 액체 상태로 저장, 취급되는 경우 외부화재, 부식, 내부압력 초과 및 설비결함 등에 의하여 용기의 파손과 함께 대기 중으로 누출되면 액체상태의 위험물질이 증발되면서 갑자기 증기로 변화되어 외부로 치솟게 되는데 이때에 외부 화재, 스파크, 정전기, 담뱃불 등의 발화원에 의하여 폭발 및 화염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5. 화구(Fireball)라 함은 저장, 취급조건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비등액체 팽창증기폭발에 의하여 공중에 생성된 공같은 모양의 화염 덩어리를 말한다.
6. 증기운 폭발(Vapor cloud explosion): 가연성의 위험물질이 용기 또는 배관내에 저장, 취급되는 과정에서 서서히 지속적으로 누출되면서 대기 중에 구름형태로 모이게 되어 바람, 대류 등의 영향으로 움 직이다가 담배불, 정전기, 기계적 마찰, 스파크 등의 발화원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모든가스가 동시에 폭발하는 현상으로서 폭발에 의한 과압에 의하여 엄청난 손상을 가져오는 현상을 말한다.
7. 밀폐계 증기운 폭발(Confined vapor cloud explosion): 용기나 건물 등 밀폐된 공간에서 위험물질의 가스 또는 증기와 공기와의 혼합물에 의한 폭발을 말한다.
8. 물리적 폭발(Physical explosion): 압력용기가 과압방지장치의 고장, 부식, 마모, 화학적 침식 등에 의한 두께의 감소 및 과열.재질의 결합 등에 의한 용기의 강도 감소 등에 의하여 내부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폭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9. 과압(Overpressure): 어느 지점에 대기압 보다 큰 압력으로 전달 되는 압력을 말한다.
10. 폭발파(Blast wave): 폭발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 파동을 말한 다.
11. 증기운 화재(Flash fire):누출된 위험물질이 공기중으로 확산되어 구름형태로 떠다니다가 물질의 폭발하한계 이하로 희석되기전 발화원을 만나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화염의 속도는 음속보다 작으며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과압이 발생한다.
12. 고압분출 화재(Jet fire): 배관, 저장 탱크등에서 연속적으로 누출 되는 고압의 위험물질이 누출원 근처의 발화원에 의하여 점화되는 현상 을 말하며 이 경우 연속적으로 복사열이 발생된다.
13. 액면 화재(Pool fire):액체(액화가스포함)의 위험물질이 누출되어 주변 바닥에 고여 있는 액체가 기화하여 발화원에 의해 점화된 것을 말한다.
2.사고피해예측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상사고를 중심으로 사고피해 예측을 수행하되 그중 사고 발생 빈도 또는 가능성이 높은 가상사고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1. 1단계(근본적인 위험 요소 확인): 정성적인 위험성 평가 단계로서 주로 위험과 운전 분석 기법 또는 체크리스트 기법 등에 의하여 공정내에 잠재하고 있는 위험요소를 확인한다.
2. 2단계(누출 모델 작성): 누출 모델은 물질이 어떻게 누출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배관의 파손, 플 랜지 누출, 안전밸브 작동, 운전원 실수 등에 의한 잠재적인 누출원 등을 확인 하여 방출되는 위험물질의 양, 온도, 밀도, 시간, 누출상태(가스, 증기, 액체, 혼합물) 등을 계산한다.
3. 3단계(확산 모델): 2단계의 누출 모델을 근거로 하여 대기 중으로 확산되는 위험물질의 거리에 따른 농도, 확산되는 증기운 구름의 크기, 농도, 형태를 예측한다.
4. 4단계(피해예측): 누출되는 위험물질이 인화성가스 또는 인화성액체인 경우에는 화재.폭발로 인하여 사업장내의 근로자 및 주변 시설에 미치는 화재.폭발의 영향을 계산 하며 독성물질인 경우에는 작업자, 인근 주민 또는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을 계산 한다.
'화공안전기술사 > 6. KOSHA 읽어주는 남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E-180-2020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 (추가) (0) | 2022.03.10 |
---|---|
2021년도 제4차 안전보건기술지침(KOSHA Guide) 공표 (0) | 2022.01.26 |
P-157-2017 정기적인 공정 위험성평가 (0) | 2022.01.02 |
P-111-2012 공정안전성 분석(K-PSR)기법 (0) | 2021.12.29 |
D-42-2012 수소벤트스택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0) |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