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틸렌 모노머 누출 사고 - 한화 토털 , 2019 5.17~5.18/ LG화학(인도), 2020.5.7
1. 스티렌모노머(Styrene Monomer, SM)
- 에틸벤젠을 탈수소화 하는 반응을 통하여 제조
- 고분자 물질의 중합반응을 위한 모노머로 사용됨
- 자기 중합을 하기 때문에 중합방지제 (TBC-4 tert-Butylcatechol)를 사용해야 함
- 저장온도는 21도씨 이하, 용존산소량 15~20 ppm을 유지하면 중합 반응 억제 가능
- 반응성이 강함 - 산화제, 과산화물, 강산, 구리 등 (녹이 있으면 중합 반응 가속)
2. 2019 한화 토털 스틸렌 모노머 누출사고
- 한화토탈 (2019 5.17~18) 스틸렌모노머 누출로 인하여 약 2000명 병원 진료
- 공장 정지 후 가동, 그 후 공정 생략 및 혼합 잔사유의 장기간 보관 (6일)으로 인한 반응 폭주
장시간 정상적인 운전 과정에선 4번째 증류탑을 거치면서 스티렌모노머 성분이 15% 정도로 줄어드는데, 이 과정이 생략되면서 스티렌모노머 성분이 80~90%인 혼합 잔사유(남은 기름)가 저장탱크로 가게 됐다. 탱크는 내부 물질이 굳는 걸 방지하기 위해 평소 온도를 55~60℃로 유지하는데, 이렇게 6일간 보관되면서 탱크 내부에서 중합 반응(작은 분자가 연속 결합해 큰 분자로 만들어지는 현상)이 일어났고, 갑자기 온도가 올라가면서 스티렌모노머가 증발해 폭발성 증기운을 형성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43882#0DKU
http://www.hani.co.kr/arti/PRINT/896181.html (그림)
3. 2020 엘지화학(인도) 스틸렌 모노머 누출사고
- 2020년 5월 인도에서 스틸렌모노머 누출로 인하여 약 25명 사망 1000명 병원 입원한 사고사례
- 가동 중단 후 재가동되는 과정 중에 사고 발생 (한화 토털 등 사고사례와 유사)
- 관련기사: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50818504360515#0DKU
4. 스틸렌 모노머 누출사고 대책
- 취급, 저장 설비의 온도관리 (cooling inner coil, temperature indicator) : 약 15도
- 중합방지제 농도 유지관리: 주기적 관리 및 긴급 중합방지제 투입설비
- 반응 폭주 대비한 안전운전 계획, 비상조치 수립
폐 스티렌모노머(Re-SM) 탱크의 특성상 점도가 높아서 이송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탱크의 온도를 50 ~ 60 °C로 관리한다. 다만, 제조공정의 증류탑, 응축기 등의 공정 이상이 발생하여 정상 운전조건보다 고농도의 스티렌모노머가 탱크 내로 투입이 될 경우 에는 냉각기(Cooler)등을 통해 저온으로 탱크에 저장을 하는 설비를 갖추고,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고농도의 스티렌모노머를 저장 탱크에서 보관하는 기간(체류시간)을 저하시키는 등의 관리를 통해 이상 화학반응의 가능성을 줄여야 한다.
참고 문헌
- 스티렌모노머(SM) 안전가이드 (2019.11) 한국 산업안전공단
- pressian.com/pages/articles/243882#0DKU
- http://www.hani.co.kr/arti/PRINT/896181.html
-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50818504360515#0DKU
스티렌모노머(SM)_안전가이드.pdf
0.76MB
반응형
'Process Safety > 2. 공정안전 사고사례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관련 기술사 면접준비팁 - 사고사례 관련 (0) | 2021.10.01 |
---|---|
롯데캐미컬 압축기 사고 (2020, 한국서산) 外 (0) | 2021.05.04 |
구미불화수소 (가스) 누출사고 (2012) 및 불화수소/불산 위험성 분석 (0) | 2021.04.14 |
최근 국내 대형 화재사고 정리 (2017년 이후) (0) | 2021.04.11 |
이천물류 창고 화재 (2020) 및 우레탄폼 위험성 분석 (8) | 2021.04.09 |